부동산/부동산공부15 부동산 공부 ] 7.경매의 개념과 종류 1. 경매란 ? - 변제기가 도래한 채무에 대해서 채무자가 채무변제의 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할 때, 채권자가 채권을 변제받기 위해서 채무지 ( 또는 보증인 ) 소유의 부동산을 채무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관할법원에 요청하는 것. - 2002년 7월 1일 민사집행법 개정 이후에 경매는 재테크의 시장으로 바뀌어 부동산경매는 수익을 내는 또 하나의 시장이 되었음. 2. 경매의 권리분석과 물건분석 1 ] 권리분석 - 경매로 매수한 부동산에 대한 권리를 낙찰자인 매수인이 인수해야 하는 권리와 인수하지 않아도 되는 권리로 나누어 알아보는 것을 뜻함. 소멸주의 인수주의 경매로 매수한 부동산에 관한 종전의 채권자의 권리가 배당을 받든지 못 받든지 불문하고, 모두 소멸되는 것으로 깨끗하게 청소가 되는 것이다. 경매로 말소 (.. 2022. 1. 18. 부동산 공부 ] 6. 부동산의 종류 - 토지 - 1. 토지의 분류 1 ] 감정평가상의 토지종별 토지의 용도 전환 지역종별 토지종별 토지 - ① 택지지역 - 주택지역 / 상업지역 / 공업지역 ② 농지지역 - 전지지역 / 답지지역 / 과수원지역 ③ 임지지역 - 용재림지역 / 신탄림지역 ① 택지 - 주거지 / 상업지 / 공업지 ② 농지 - 전지 / 답지 ③ 임지 2 ] 후보지와 이행지 ① 후보지 - 용도적 지역종별 대분류 상호간 어떤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전환되어가는 지역을 뜻함. - 가망지 또는 예정지라고도 함. - 토지는 '임지 → 농지 → 택지 ' 로 용도전환되는 것이 일반적. ② 이행지 - 택지지역, 농지지역, 임지지역 중 각각 세분화 된 지역 내에서 상호간에 용도전환이 이루어지는 토지 . 3 ] 대지/ 택지/ 부지 ① 대지 - 지목이 대(垈) 인.. 2022. 1. 17. 부동산 공부 ] 5. 부동산권리분석의 목적과 특별원칙 1 . 부동산권리분석 1 ] 권리분석의 의의 및 목적 - 부동산에 대한 권리 및 권리관계의 진정성과 법률관계의 가치를 실질적으로 조사,확인,판단하여 일련의 부동산활동을 안전하게 하려는 부동산활동. 2 ] 권리분석의 성격 ① 권리관계를 취급하는 활동 : 대상부동산에 대한 권원관계를 다루는 부동산활동 ② 비권력적 행위 : 권원분석은 권리관계를 조사,분석,판단 하지만 수사기관과 같이 권력기관이 아닌 비궈력적 행위이기에 실무활동에 어려움이 많음 ③ 사후확인 행위 : 부동산의 역사가 길수록 안전성을 높이지 위한 관련범위 확대가 필요함 . ④ 주관성과 객관성 : 협의의 권리분석의 대상인 등기부는 분석대상의 권리관계가 추상적인 경우가 많아 주관성이 높고, 광의의 권리분석은 객관적 사실을 취급하기 때문에 객관성이 높다.. 2022. 1. 17. 부동산 공부 ] 4. 부동산과 경기변동 1 ] 부동산경기변동의 개념 - 부동산경기는 일반적으로 건축경기를 의미함. 협의로는 주거용 부동산의 건축경기, 광의로는 공업용, 상업용 부동산경기 포함하며 최광의로는 토지경기를 포함함. 일반적으로 부동산경기라 하면 주거용 경기를 말한다. - 부동산경기는 일반경기의 한 구성부문이며, 부동산경기 또한 여러 가지 부문별 경기를 가중 평균한 것. 2 ] 부동산 경기변동의 특징 ① 경기변동의 주기가 다르다. - 부동산경기의 변동( 17년-18년) 은 일반경기주기 ( 8년-10년) 에 비해 약 2배가 길다. - 일반경기와 비교할 때 선행, 역행, 병행할 수도 있고 때로는 독립적인 경우도 있음. 일반적으로 주시시장의 경기는 일반경기에 비해 전순환적이며, 부동산 경기는 일반경기에 비해 후순환적. ② 부동산 경기순환에는.. 2022. 1. 12. 이전 1 2 3 4 다음